오라클 SQL 강좌: 데이터베이스 시작하기
오라클 SQL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검색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 강좌에서는 오라클 SQL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시작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데이터베이스란?
데이터베이스는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법입니다. 데이터베이스는 관계형데이터베이스와 비관계형데이터베이스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오라클 SQL은 관계형데이터베이스를 다루기 위한 도구입니다.
Oracle SQL Developer 설치 및 실행
우선, Oracle SQL Developer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SQL Developer를 실행하여 새로운 연결을 설정합니다. 연결을 위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사용자 이름
- 암호
- 호스트 이름 또는 IP 주소
- 포트 번호
- 서비스 ID 또는 SID
위 정보를 입력하여 연결을 설정합니다. 연결이 성공하면 새로운 쿼리 창이 열립니다.
테이블 생성하기
테이블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학생의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을 만들어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은 SQL문을 입력합니다.
CREATE TABLE student_results (
id NUMBER(10),
name VARCHAR2(50),
grade NUMBER(5,2),
PRIMARY KEY (id)
);
위 SQL문은 student_results라는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테이블은 id, name, grade라는 열(column)을 갖습니다. id는 10자리의 숫자, name은 50자 이하의 문자열, grade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의 숫자로 정의됩니다. 마지막으로, id를 기본키로 설정합니다.
데이터 삽입하기
테이블을 생성하였으니, 이제 데이터를 삽입해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은 SQL문을 입력합니다.
“`
INSERT INTO student_results (id, name, grade)
VALUES (1, ‘홍길동’, 90.5);
INSERT INTO student_results (id, name, grade)
VALUES (2, ‘김철수’, 85.5);
“`
위 SQL문은 student_results 테이블에 두 개의 데이터를 삽입하는 것입니다.
데이터 검색하기
데이터를 삽입했으니, 이제 데이터를 검색해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은 SQL문을 입력합니다.
SELECT * FROM student_results;
위 SQL문은 student_results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입니다.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ID NAME GRADE
1 홍길동 90.5
2 김철수 85.5
“`
결론
이 강좌에서는 오라클 SQL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시작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습니다. Oracle SQL Developer를 설치하고 실행하여 연결 설정을 하고, 테이블을 생성하고, 데이터를 삽입하고, 검색하는 방법을 다루었습니다. 이제 여러분도 오라클 SQL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다룰 수 있습니다.